요즘 아파트에도 전기차 충전기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관심입니다. 공동주택에서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때 비용은 장비값만 보는 게 아니라 전력 인입·증설, 공사 난이도, 표지·안전, 관제/정산, 유지보수까지 전체 생애주기를 합쳐서 판단해하는데요. 그래서 오늘은 완속/급속별 비용 범위와 견적 포인트, 실사례형 계산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한눈 요약
- 비용 구조: ①장비 ②전기·통신 공사 ③한전 전력 인입·증설(시설부담금) ④표지·도색·안전 ⑤관제/정산 ⑥전기안전 ⑦유지보수.
- 완속(AC): 대당 약 200만~300만 원대 사례 흔함(현장 편차 큼). 7~22kW
- 급속(DC): 수천만~수억 원 범위. 전력 증설 여부가 총액을 좌우. 50~200kW+
- 보조금: 공용 완속 중심으로 장비·시공 일부 상쇄 가능(무공해차 포털 접수).
전기차 충전기 설치 비용 항목
- 장비(충전기 본체)
완속(7~22kW)은 내구성·결제/OCPP 지원 여부에 따라 단가 차이. 급속(50~200kW+)은 정류부·냉각·듀얼건·디스펜서 분리형 등 사양에 따라 큰 편차가 납니다. - 전기·통신 공사비
전력실→설치 위치 배선 거리/경로, 천공·덕트·관로, 분전반·차단기 증설, 통신(유선/LTE)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. - 한전 ‘시설부담금’·전력 증설비
신설/증설 시 표준 시설부담금(기본·거리)이 적용될 수 있으며, 외선·내선 공법에 따라 상이합니다. - 표지·도색·차단장치
‘전기차 충전구역’ 바닥 도색, 안내판, 볼라드/차단봉 등 점유 방지 설비. - 관제/정산(네트워크)
앱·백오피스, 과금·정산 수수료, 로밍(PnC 포함) 등 소프트 비용. - 전기안전
공사계획신고·사용전점검 등 법정 절차(일부 수수료 비부과 항목 포함). 통상 시공사가 패키지로 지원. - 유지보수(O&M)
보증 이후 정기점검, 긴급 출동(SLA), 소모품, 보험 등.
전기차 설치 평균 비용 범위(공동주택 공용부 기준)
완속(AC, 7~22kW)
항목 | 범위(예시) | 비고 |
---|---|---|
장비 | 대당 50만~150만+ 원 | 결제/OCPP·방수·보증에 따라 차이 |
전기·통신 공사 | 대당 100만~200만+ 원 | 배선거리·관로 난이도 반영 |
표지·도색·볼라드 | 면당 수십만~수백만 원 | 규격·수량에 따라 |
(발생 시) 시설부담금 | 현장별 상이 | 신설/증설·거리 요소 |
합계(대당) | 약 200만~300만 원대 | 현장 편차 큼 |
급속(DC, 50~200kW+)
항목 | 범위(예시) | 비고 |
---|---|---|
장비 | 수천만~1억+ 원 | 100kW급 기준 수천만~1억대 |
설치·전력 증설 | 수천만~수억 원 | 변압기·간선 증설 포함 시 급증 |
표지·안전·관제 | 수백만 원대 | 디스펜서 보호/펜스 포함 |
합계(1기) | 약 5천만~2억+ 원 | 증설 여부가 핵심 변수 |
시나리오 예상견적
A안) 지하주차장 완속 7kW 4기 (배선거리 30m 내, 벽부형)
항목 | 수량/단가 | 금액(원) |
---|---|---|
장비 | 4대 × 1,200,000 | 4,800,000 |
전기·통신 공사 | 4대 × 1,200,000 | 4,800,000 |
표지·도색·볼라드 | 일괄 | 1,200,000 |
관제/정산 초기 구성 | 일괄 | 500,000 |
(발생 시) 시설부담금 | 추정 | 0 ~ 1,000,000 |
예비비(10%) | 일괄 | ~1,200,000 |
합계 | 약 12,500,000 ~ 13,500,000 |
B안) 지상 주차장 급속 100kW 1기 (디스펜서 일체형, 신규 인입)
항목 | 범위 | 비고 |
---|---|---|
장비 | 60,000,000 ~ 100,000,000 | 옵션·브랜드 편차 |
전기·토목(기초·관로·분전반) | 20,000,000 ~ 50,000,000 | 현장 난이도 |
한전 시설부담금/증설 | 10,000,000 ~ 40,000,000 | 신설/거리·공법 |
표지·안전·관제 | 2,000,000 ~ 4,000,000 | 펜스/볼라드 포함 |
합계 | 약 100,000,000 ~ 180,000,000+ | 증설 범위에 따라 상향 |
주의: 위 금액은 비교·의사결정을 돕는 참고 범위입니다. 실제 발주 전에는 반드시 현장 실사와 정식 견적을 3곳 이상 받아 장비/시공/한전/예비비를 분리 표기하도록 하세요.
설치 이후 운영비(OPEX)도 꼭 계산
- 전기요금: kWh 단가 × 판매 kWh (시간대/회원제에 따라 변동).
- 정산·로밍 수수료: 결제/플랫폼/로밍 연동 비용.
- 유지보수/보험: SLA(복구시간), 원격관제, 소모품.
- 정기점검: 보조금 사업 참여 시 반기 보고·등록 의무.
전기차 설치 비용을 줄이는 7가지 팁
- 핵심 위치 소수 설치 → 데이터 확보 후 증설로 초기 CAPEX 최소화
- 스마트 부하관리 지원 완속으로 동시충전률 설계(계약전력 증설 지연)
- 배선거리 단축: 전력실과 가까운 면부터 설치해 대당 공사비 절감
- 벽부형 우선, 스탠드형은 예외로(기초·볼라드 비용 절약)
- 도색·표지·차단장치 표준화로 재시공·민원 비용 축소
- 관제/정산 일원화로 수수료 중복 방지
- 3곳 이상 비교견적: 장비(보증·부품) + 시공(책임·하자) + O&M 조건을 표준 양식으로 비교
견적 받을 때 체크리스트
- 장비 스펙: 정격 kW, 듀얼건, 결제/로밍, PnC, OCPP, 방수·방진 등급
- 전력 경로도: 배선거리, 굴착·천공 여부, 분전반·차단기 용량, 피난 동선
- 한전 협의 필요 여부: 신설/증설, 시설부담금 추정 포함
- 관제/정산 계약: 수수료, 정산주기, 원격진단·알람
- 유지보수: 보증기간, 출동 SLA, 소모품, 보험
- 총액 산출서: 장비/시공/한전/기타/예비비를 분리 표기 요구
마무리
비용·요금·보조금은 매년 변동됩니다. 최신 공고/요금표를 확인해 업데이트된 내용을 반영해야 합니다.
또한 법정 안전 절차(공사계획신고·사용전점검)와 반기 점검·등록 의무를 반드시 준수하세요. 안전이 가장 우선이고 위반 시 임팩트가 상당하기 때문에 가급적 모든 안전 절차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 급속 설비는 전력 증설 범위에 따라 총사업비가 크게 달라지므로 초기 단계에서 한전 협의를 병행하세요.
'자동차 이야기 > 전기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트 전기차 충전기 설치, 처음부터 끝내는 가이드 (1) | 2025.08.14 |
---|---|
전기차 충전 카드, 공공 vs 민간 비교 (혜택·장단점·요금 절감 팁) (4) | 2025.08.13 |
2025년 전기차 충전 할인 카드 TOP10 비교 (혜택·연회비·할인율 총정리) (3) | 2025.08.13 |
전기차 충전앱 추천 (이브이시스, E-Pit, 모두의 충전 비교 리뷰) (1) | 2025.05.30 |
가정용 전기차 충전기 설치비용 & 보조금 신청 방법 (1) | 2025.05.29 |
댓글